By
손다희
•
2022-02-09
작성
•
2022-11-03
업데이트
1. 기면증이란?
수면 발작, 탈력 발작, 입수면기의 환각, 수면 마비 등 네 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는 수면장애입니다. 기면증 증상은 청소년기에 처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기면증 환자는 심한 졸음으로 학업 장애를 초래하고,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높이는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2. 이런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보세요.
자신도 모르게 잠에 빠졌다가 15분 정도 후 깨어나는 수면 발작 증상, 감정이 급격하게 변할 때 근육의 긴장이 갑자기 소실되어 쓰러지는 탈력 발작 증상이 있으면 기면증이 의심됩니다.
3. 원인은 무엇일까?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년기에 발생하고, 대부분 30세 이전에 발병합니다. 중추신경계 내의 하이포크레틴 전달 이상이 병의 원인과 관련된다고 추정되며, 유전적 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진단 방법
1) 자가 진단법
엡워스 졸림증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ESS)를 통해 자가진단이 가능합니다. 하기 문항에 대한 점수를 통해 총점이 11점 이상이면 기면증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혀 졸리지 않는다(0점), 가끔 졸음에 빠진다(1점), 종종 졸음에 빠진다(2점), 자주 졸음에 빠진다(3점))
∙ 앉아서 무언가를 읽을 때 졸음이 몰려온다.
∙ TV 시청할 때 졸음이 몰려 온다.
∙ 공공장소에서 가만히 앉아 있을 때 졸리다.
∙ 승객으로써 쉬지 않고 1시간 동안 대중교통을 타고 있으면 졸리다.
∙ 앉아서 누군가와 대화를 하고 있을 때 졸리다.
∙ 점심식사 후 조용히 앉아 있을 때 졸리다.
∙ 차안에서 운전 중 교통체중으로 몇 분간 멈춰 있을 때 졸리다.
2) 정식 진단법
수면장애 국제분류 3판(ICSD-3)에 따르면 다음의 사항을 만족할 경우 기면증으로 진단합니다.
1. 탈력발작을 동반하는 기면증 (제1형 기면증)
A. 최소 3개월 동안 거의 매일 반복되는 저항할 수 없는 졸음과 수면발작이 일어난다.
B. 아래 중 하나 또는 두 가지를 만족한다.
1) 탈력발작이 있으며 수면잠복기 반복검사에서 평균 수면잠복기가 8분 이내이고 15분 이내 나타나는 REM 수면이 2회 이상
2) 뇌척수액에서 하이포크레틴-1의 농도가 110 pg/mL 이하이거나 정상수치의 1/3 미만
2. 탈력발작을 동반하지 않는 기면증 (제2형 기면증)
A. 최소 3개월 동안 거의 매일 반복되는 저항할 수 없는 졸음과 수면발작이 일어난다.
B. 수면잠복기 반복검사에서 평균 수면잠복기가 8분 이내이고 15분 이내 나타나는 REM 수면이 2회 이상
C. 탈력발작이 없다.
D. 뇌척수액에서 하이포크레틴 농도가 측정되지 않았거나 또는 뇌척수액 하이포크레틴-1의 농도가 110 pg/mL 보다 높거나 정상수치의 1/3 보다 높음
E. 주간졸림이나 수면잠복기 반복검사의 결과가 수면 부족, 폐쇄성 수면 무호흡, 수면 주기의 지연 또는 다른 약물이나 물질의 영향이나 금단증상 등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5. 예방법
기면증 환자들은 무엇보다도 규칙적인 수면 및 각성 주기를 유지하고 수면 위생으르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밖에 음주나 야간 운동 등 숙면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를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치료방법
1) 약물 치료
기면증은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합니다. 낮 동안의 졸음 증상에는 각성제를 사용합니다. 최근 사용되는 각성제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효과적이어서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탈력 발작, 수면 마비에는 항우울제 계통의 약을 사용합니다.
2) 행동 요법
일정한 수면패턴를 유지하며,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 섭취를 금지합니다. 이 밖에 지속적인 각성을 요구하는 작업을 피하고, 고탄수화물, 고지방 음식 및 과식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밤에는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출처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블로그 https://blog.naver.com/icmcseoul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o
- 사진 : pexel